TimesCore
World News | Litter Bugs 동영상 강좌
  • 기사
  • 해석

Litter Bugs

A new study shows that the ocean is being treated like a garbage can. Researchers, including Professor Jenny from the University of Georgia, estimated that 8.8 million tons of plastic is dumped in oceans around the world each year. Plastic makes up about 80 percent of this marine litter.

Researchers tracked ocean debris from its sources to determine the amount of plastic pollution worldwide. They say that more than half of plastic waste comes from five countries: China, Indonesia, the Philippines, Vietnam, and Sri Lanka. The researchers based their study on statistics from 192 countries’ waste streams. The amount is much higher than what environmentalists had previously thought.

Plastic waste in oceans has negative consequences for marine life, the environment, and local economies. This litter contaminates the world’s water with toxins, which may be dangerous for sea plants, fish, and people who eat seafood. Often, birds, whales, turtles, and other sea animals eat the trash, which harms their intestines or causes them to choke. Also, it is expensive for governments to clean up this pollution, hindering tourism and recreational activities.

People can reduce marine litter - recycle more, give up single-use plastic bags, participate in community clean-up events and other ways. Brye Butler Steeves
Copyeditor
(ttt@timescore.co.kr)

한 새로운 연구 결과는 바다가 쓰레기통과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지아 대학교의 Jenny 교수를 포함한 연구원들은 매년 세계적으로 880만톤의 플라스틱이 바다에 버려지고 있다고 추정했다. 플라스틱은 이 해양 쓰레기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전세계적인 플라스틱 오염물의 양을 알아보기 위해 해양 쓰레기의 경로를 추적했다. 그들은 전체 플라스틱 쓰레기의 절반 이상이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스리랑카 이렇게 다섯 국가에서 들어오는 것이라고 한다. 그 연구원들은 192개국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쓰레기 흐름에 대한 통계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양은 그 환경학자들이 이전에 생각했었던 것 보다 훨씬 많았다. 바다 속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양 생물, 환경, 현지 경제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다 준다. 이 쓰레기는 수생식물, 어류, 그리고 사람들에게 위험할 수 있는 독소로 전세계의 바다를 오염시킨다. 종종 새, 고래, 거북이, 그리고 기타 해양 동물들은 그들의 창자에 해를 끼치거나 질식을 유발하는 쓰레기를 먹는다. 또한, 관광과 오락활동을 저지하게 되어 정부가 이 오염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든다. 사람들은 재활용량을 늘리고, 1회용 비닐봉지 사용을 자제하며, 지역 청소 활동과 기타 방법 등을 동원하여 해양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